Working languages:
English to Korean
Korean to English
Korean (monolingual)

HaeEun Jung
Sociology Papers, Colloquiial/Honorifics

South Korea
Local time: 19:14 KST (GMT+9)

Native in: Korean (Variant: South Korea) Native in Korean
  • Send message through ProZ.com
Feedback from
clients and colleagues

on Willingness to Work Again info
No feedback collected
Account type Freelance translator and/or interpreter
Data security Created by Evelio Clavel-Rosales This person has a SecurePRO™ card. Because this person is not a ProZ.com Plus subscriber, to view his or her SecurePRO™ card you must be a ProZ.com Business member or Plus subscriber.
Affiliations This person is not affiliated with any business or Blue Board record at ProZ.com.
Services Translation, Transcription, Editing/proofreading, Subtitling
Expertise
Specializes in:
PhilosophySocial Science, Sociology, Ethics, etc.
Paper / Paper ManufacturingMedia / Multimedia
Tourism & TravelMarketing / Market Research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Poetry & Literature
SlangEngineering: Industrial

Volunteer / Pro-bono work Open to considering volunteer work for registered non-profit organizations
Rates

Portfolio Sample translations submitted: 1
Korean to English: Political Philosophy
General field: Social Sciences
Detailed field: Philosophy
Source text - Korean
From toleration to human rights – and back

1. The two most prominent examples of the toleration policy of ‘enlightened absolutism’ are Prussia under Frederick the Great and his successor Frederick William II and the Habsburg monarchy under Joseph II. In both realms, which were at war with each other, important steps were taken during the 1780s towards legally guaranteeing a limited form of toleration. In this regard Brandenburg-Prussia was able to build on a tradition of relaxing the jus reformandi extending back to the seventeenth century – an example being the Edict of Potsdam of 1685 admitting the Huguenots – and in Frederick II had a king who regarded himself as standing above the confessions, not only in a political but also in a religious sense, and who held that ‘everyone should find salvation in his own fashion’– which does not mean that, in his religious policies, Frederick II did not studiously avoid excessively weakening the position of Protestantism. Under Frederick William II, Woellner’s 1788 edict concerning ‘the Religious Constitution of the Prussian State’ granted ‘all three main confessions of the Christian religion’ – namely, the Reformed, the Lutheran and the Roman Catholic – equal status ‘in their prior condition’ and called for toleration, understood as freedom from coercion of conscience, for the remaining ‘sects and religious parties’, ‘so long as each quietly fulfils his duties as a good citizen of the state’. Hence, whereas the three main confessions enjoyed privileged public recognition, the others were granted at least freedom of belief and of religious observance (within certain limits). However, this edict was accompanied by extensive official censorship designed to ensure that the Christian doctrine would not be watered down by ‘unrestrained thought’. By contrast, the ‘General State Law for the Prussian States’ (‘Prussian Civil Code’) of 1794, for which Carl Gottlieb Svarez was largely responsible, imposed universal toleration of all religious parties and opposed censorship, but maintain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hurches expressly adopted by the state’ enjoying the rights of ‘privileged corporations’ and merely ‘tolerated’ churches.

The toleration policy of Joseph II is more informative than its Prussian counterpart for an analysis of the ambivalences of toleration as a progressive strategy of absolutist rule. It exhibits the role played by toleration in the ‘enlightened’ thought of a ruler who had learned the lesson of the politiques and viewed toleration as a rational form of the exercise of power, as a form of disciplining by granting freedom – a further stage in the history of the rationalisation of power. The conflict with his mother Maria Theresa – who during her reign from 1740 to 1780 presided over an empire marked profoundly by the Counter-Reformation in which she sought to impose the principle of a single religion in a single kingdom with the classical coercive methods – arose during their joint regency. It should be seen as a personal and simultaneously as a political-religious conflict between two paradigmatic understandings of political power. The dispute over toleration broke out in 1777 when thousands of Protestants who had secretly converted were prompted to identify themselves by the issuance of a false toleration decree in Moravia. The empress first sought to reconvert them by force and then to resettle them forcibly in Hungary, which led to widespread protests and violent uprisings. This led Joseph II to call upon his mother to adopt a policy of toleration:
Translation - English
관용에서 인권까지 - 전후좌우(前後左右)

1. ‘계몽절대주의(enlightened absolutism)’의 가장 두드러진 두 가지 관용적인 예시는 프로이센을 왕정 체제로 다스리던 프리드리히 대왕과 그의 후계자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치하의 합스부르크 군주국이다. 각 왕국은 전시상황에서 1780년대부터 제한된 형태의 관용의 법적 보장을 위한 중대한 조치를 시작했다. 이에 관하여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은 17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종교 개혁의 권리(jus reformandi)를 완화하는 전통을 구축할 수 있었다. 1685년, 포츠담 칙령이 위그노(Huguenots, 프랑스 개신교 신자)를 인정했음이 대표적 예시 – 또한, 프리드리히 2세는 정치적인 의미뿐만이 아니라 종교적인 면으로도 자신이 고백록 위 자리한다고 믿는 왕이었으며, ‘모두가 자신만의 방식으로 구원을 찾아야 한다’ 주장했는데– 이가 내재하는 것은, 프리드리히 2세의 종교 정책에서, 그가 개신교의 권력 약화를 주도적으로 회피하지 않았음이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하 ‘프로이센 국가의 종교 헌법(the Religious Constitution of the Prussian State)’에 관한 1788년 월너(Weollner)의 칙령은 ‘기독교의 세 가지 주요한 신앙고백’을 모두 승인했고 – 즉, 개혁파, 루터파, 그리고 로마 가톨릭 – ‘사전 조건’에서 동등한 지위 유지와 관용을 요구했는데, 이것은 ‘국가의 선량한 시민으로서 각자 본인의 의무를 조용히 이행하는 한’ 지속될 나머지 ‘종파와 종교 단체’를 위한 양심의 강압으로부터의 자유로 이해된다. 따라서, 세 가지 주요 신앙고백들이 특권적인 대중의 인정을 받았지만, 그 외는 최소한 신앙과 (특정 한계 내에서의) 종교의식의 자유를 부여받았다. 그러나, 이 칙령은 기독교 교리가 ‘억제되지 않은 생각’에 약화하지 않을 것을 보장하도록 제작된 광범위한 공식 검열과 수반되었다. 대조적으로, 칼 고틀리브 사바레즈(Carl Gottlieb Svarez)가 중대한 책임을 진 1794년의 ‘프로이센 국가를 위한 일반 주(州)법’, 이하 프로이센 민법은 모든 종교적인 정당에 보편적인 관용을 부과하고 검열에 반대했지만, 그런데도 ‘특권 기업’의 권리를 누리는 ‘국가에 의해 명시적으로 채택된 교회’와 단순히 ‘용인된’ 교회의 차이점을 변함 없이 일관적으로 판별했다.

그러나, 이 칙령은 기독교 교리가 ‘억제되지 않은 생각’에 약화하지 않을 것을 보장하도록 제작된 광범위한 공식 검열과 수반되었다. 대조적으로, 칼 고틀리브 사바레즈(Carl Gottlieb Svarez)가 중대한 책임을 진 1794년의 ‘프로이센 국가를 위한 일반 주(州)법’(프로이센 민법)은 모든 종교적인 정당에 보편적인 관용을 부과하고 검열에 반대했지만, 그런데도 ‘특권 기업’의 권리를 누리는 ‘국가에 의해 명시적으로 채택된 교회’와 단순히 ‘용인된’ 교회의 차이점을 변함 없이 일관적으로 판별했다. 요제프 2세의 관용 정책은 절대주의 통치의 진보적 전략으로서 관용의 양면성을 분석하는 데 있어 이에 대응하는 프로이센의 관용 정책보다 더 유익하다. 그것은 정책의 교훈을 얻었고 관용을 권력 행사의 합리적인 형태로 간주한 통치자의 ‘계몽된’ 사상에 관용이 어떤 역할로서 발휘하는지를, 자유를 부여하는 규율의 형태로 보여주는데 – 이는 권력을 합리화하는 역사에서 진보한 단계다. 그의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와의 갈등 - 1740년부터 1780년까지 이어진 통치 기간 그녀는 고전적이고 강압적인 방법인 단일 왕국에 단일 종교라는 원칙을 부과하며 반종교개혁이 심히 두드러진 제국을 주도적으로 통치했다 - 은 합동 섭정 중에 발생했다. 그것은 동시에 개인적이고도 정치적인 권력에 대한 두 가지 전형적인 이해 사이의 정치-종교적 갈등으로 보아야 한다. 관용을 중심으로 한 논쟁은 1777년에 비밀리에 개종한 수천 명의 개신교도들이 모라비아에서 발표된 허위 관용령 발령으로 인해 예기치 않게 자신의 신분을 밝히게 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황후는 먼저 그들을 강제적으로 개종시킨 다음 헝가리에 강제적으로 재정착시키려 했으나, 이것은 시위와 폭력적인 봉기로 널리 퍼져나갔다. 이에 따라 요제프 2세는 그의 어머니에게 관용 정책을 채택할 것을 촉구했다:

Experience Years of experience: 4. Registered at ProZ.com: Jul 2023.
ProZ.com Certified PRO certificate(s) N/A
Credentials N/A
Memberships N/A
Software Adobe Acrobat, Adobe Photoshop, Microsoft Excel, Microsoft Word
Bio
No content specified


Profile last updated
Jul 18, 2023



Mor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English to Korean - Korean to English   More language pairs